
[투어코리아=김형석 기자] 문신사 국가자격제도 도입을 앞두고, 업계가 주도하는 교육·시험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단국대학교에서 21일 열린 ‘문신사법 시행령·시행규칙 마련 정책 간담회’에서는 제도 정착을 위한 세부 방안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이번 간담회는 PMT교수협의회가 주관했다.
최근 국회를 통과한 문신사법은 문신 시술의 제도권 편입과 국가 자격화를 골자로 한다. 이에 맞춰 관련 교육과 평가체계를 어떻게 구성할지가 주요 과제로 떠오른 상황이다. PMT한국기술교육위원회 권우영 위원장은 “국내 기준을 국제적 표준에 부합하도록 설계해 한국이 가장 안전한 시술 국가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육영삼(단국대), 김순옥(대덕대), 이지영(창원대), 김태희(경남정보대) 연구원이 문신사 자격구조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참석자들은 기술군별 실기시험 분리 운영, 공통 이론시험 도입 등을 통해 문신사의 직무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또한 전공자 사전 교육 의무화, 기존 종사자 유예기간 부여 등 현실적 운영 방향도 논의됐다. 이는 제도 전환 과정에서 현장 종사자의 부담을 줄이는 한편 제도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가된다.
안전관리 체계 구축의 필요성도 부각됐다. 참석자들은 “부작용 발생 원인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안전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며 감염관리, 해부생리, 색소학, 시술기법, 응급대처 등 필수 역량을 교육·시험 과정에서 반드시 다뤄야 한다고 제안했다.
PMT기술교육위원회는 이번 논의가 문신사 제도의 기본 틀을 잡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내다보며, 향후 시행령·시행규칙 제정 과정에서 중요한 참고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