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어코리아=하인규 기자] 광주시의회 의원 연구단체인 ‘탄소중립과 기후위기 대응연구회’(대표 주임록 의원)가 지난 21일 ‘광주시 도심침수 저감방안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하고, 기후위기 시대 도시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보고에 따르면 광주시는 전체 불투수면 비율이 타 시군구에 비해 월등히 높지 않지만, 도심에 집중되어 있어 집중호우 시 침수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5년간 주택, 농경지 침수와 소상공인 피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진은 저영향개발(LID) 기반 물순환 인프라 확충, 침투·저류시설 확대, 투수포장 유지관리 강화 등을 통해 도시형 홍수 위험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분석 결과, 투수포장, 저류조, 관거 확장 등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입할 경우 최대 60%까지 침수 피크 유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회는 현행 ‘광주시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조례’의 한계를 보완한 ‘광주시 물순환 회복 및 저영향개발 기본 조례(안)’도 함께 제안했다. 조례안에는 투수포장 성능관리 및 하자보수 의무화, 빗물관리시설 설치 확대, 민간 인센티브 제공, 물순환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등이 담겼다.
주임록 대표의원은 “기후위기 대응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이번 연구 결과가 광주시의 물순환 회복과 도시침수 예방 정책에 적극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최종보고회는 광주시가 기후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도심 침수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 마련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