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어코리아=김형석 기자] “부산이 ‘노인과 아파트의 도시’라는 말, 이제는 자조가 아닌 현실입니다. 청년이 머무는 도시를 만드는 게 부산의 미래입니다.”
내년 6·3 지방선거를 앞두고 부산 정치가 세대교체와 변화를 요구받는 가운데 개혁신당 정이한 대변인이 실용정치 중심의 청년 비전을 제시했다. 정 대변인은 “부산은 중앙정치의 하청 도시가 돼선 안 된다”며 “행정이 가능한 청년정치로 도시의 체질을 바꾸겠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정이한 대변인은 12일 투어코리아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부산은 선거 때마다 전국적 주목을 받지만, 발전 속도는 전국 평균에도 미치지 못한다”며 “정치가 표심 경쟁에만 몰두하면서 지역의 구조적 문제는 방치돼 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누가 이기느냐’보다 ‘무엇을 바꾸느냐’가 중요한 시기”라며 “부산 스스로 정책 해법을 제시할 수 있는 자립형 정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국무총리비서실 민정실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근무한 행정 경험을 갖춘 청년 정치인이다. 여의도 정치권에서도 보기 드문 이력이다. 정 대변인은 “청년정치는 열정이 아니라 실행 능력으로 평가받아야 한다”며 “정책을 설계하고 예산 구조를 이해할 줄 아는 정치인이 나설 때 도시가 바뀐다”고 강조했다. 개혁신당 역시 ‘이념보다 실용, 구호보다 현실’을 당의 중심 가치로 삼고 있다.
그가 제시한 핵심 비전은 ‘직장·결혼·육아 원스톱 도시 부산’이다. 청년이 일하고 결혼하고 아이를 낳아 키우는 모든 과정을 부산 안에서 해결할 수 있는 도시 구조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그는 “신혼부부용 공공임대주택을 직장 인근에 공급하고, 보육시설과 산후조리원을 통합한 생활권형 복합단지를 조성하겠다”며 “복지 지원이 아니라 청년 생태계의 기반을 설계하는 행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 대변인은 “부산의 청년 이탈은 일자리 문제가 아니라 구조의 문제”라고 진단했다. 그는 “청년이 머물지 않으면 상권이 무너지고, 상권이 죽으면 도시의 활력도 사라진다”며 “부산이 청년이 살고 싶은 도시로 바뀌지 않으면 지방소멸의 첫 사례가 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또 “지금 부산 정치는 고일 대로 고여 있다”고 했다. “선거 때마다 인물만 바뀌고, 정책은 제자리입니다. 부산에는 정치적 경쟁을 유도할 ‘메기 역할’이 필요합니다.” 정 대변인은 개혁신당이 그 역할을 맡겠다고 했다. “이념 대립이 아니라 현실 대안 경쟁이 필요하다”며 “부산 정치의 문화를 바꾸는 데 청년세대가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부산 출신인 그는 지역 정체성 복원을 핵심 목표로 내세운다. “부산은 바다처럼 역동적이고 포용적인 도시여야 합니다. 저는 부산에서 태어나 자랐고, 부산에서 생을 마무리할 사람입니다. 부산의 자존심을 되찾고 싶습니다.” 그는 “부산이 해양수도로 불리려면 산업과 인구, 문화가 함께 순환해야 한다”며 “청년이 떠나지 않고 머무는 도시가 곧 부산다움의 회복”이라고 말했다.
정이한 대변인의 행보는 단순한 세대교체 구호를 넘어선 ‘행정 기반 실용정치’의 실험으로 해석된다. 그가 제시한 ‘부산다움’과 ‘청년이 살기 좋은 도시’라는 비전은 지역사회가 수년째 제기해온 과제를 정치 의제로 끌어올린 시도로 평가된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개혁신당이 실용정치 노선을 통해 부산 정치의 새 흐름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