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4-26 16:40 (금)
궁중회화 ‘기사계첩’ 국보 지정. 말모이 원고 등 6건 보물 지정
상태바
궁중회화 ‘기사계첩’ 국보 지정. 말모이 원고 등 6건 보물 지정
  • 정하성 기자
  • 승인 2020.12.22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왕실 하사품이 완전하게 갖추어진 궁중회화 첫 사례인 궁중회화 및 함은 국보로, 근대 한글유산 ‘말모이 원고’ 등 6건은 보물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은 왕실 하사품이 완전하게 갖춰진 채 300년 넘게 풍산홍씨 후손가에 전래된 ‘기사계첩 및 함’을 국보로 지정하고, ‘경진년 연행도첩’, ‘말모이 원’,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상1의2’, ‘조선말 큰사전 원고’, ‘효의왕후 어필 및 함-만석군전․곽자의전’ 등 조선 시대 회화, 서책, 근대 한글유산 등 6건을 보물로 지정했다.

기사계첩-경현당석연도
기사계첩-경현당석연도

국보 제334호 ‘기사계첩 및 함

‘기사계첩 및 함(耆社契帖 및 函)’은 18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궁중회화로,  1719년(숙종 45년) 59세가 된 숙종이 태조 이성계의 선례를 따라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간 것을 기념해 제작한 계첩(契帖)이다.

이번 기사계첩에는 다른 계첩에서는 볼 수 없는 ‘만퇴당장(晩退堂藏, 만퇴당 소장)’, ‘전가보장(傳家寶藏, 가문에 전해 소중히 간직함)’이라는 글씨가 수록돼 있어, 이 계첩이 1719년 당시 행사에 참여한 기로신 중의 한 명이었던 홍만조(洪萬朝, 1645~1725)에게 하사된 ‘풍산홍씨’ 후손가에 대대로 전승되어 온 것을 말해준다.

기사계첩 화첩, 내함, 호갑, 외궤
기사계첩 화첩, 내함, 호갑, 외궤

이 계첩은 300년이 넘은 오랜 세월에도 불구하고 훼손되지 않은 채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첩을 먼저 내함에 넣고 호갑을 두른 후, 외궤에 넣는 삼중(三重)으로 구성돼 있어, 조선 왕실에서 민가에 내려준 물품의 차림새를 복원할 수 있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이는 왕실 하사품으로서 일괄로 갖추어진 매우 희소한 사례일 뿐만 아니라 제작 수준도 높아 화첩의 완전성을 돋보이게 하는 요소다.

또 ▲숙종의 기로소 입소라는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고, 후에 고종(高宗)이 기로소에 입소할 때 모범이 된다는 점, ▲제작시기와 제작자가 분명하게 밝혀져 있어 학술적으로 중요하며, ▲기로신들의 친필(親筆) 글씨와 더불어 그림이 높은 완성도와 화격(畵格)을 갖추고 있어 현존하는 궁중회화를 대표할 만한 예술성도 갖추었고 ▲ 당시 왕실공예품 제작 기술에 대해서도 귀중한 정보를 알려주는 점 등이 국보로 지정해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됐다.

보물 제2084호 경진년 연행도첩

‘경진년 연행도첩(庚辰年 燕行圖帖)’은 영조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제작한 어람용(御覽用) 화첩으로, 경진년인 1760~1761년 영주가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잡혀있던 중국 북경 심양관의 옛터를 자세히 살피라는 명을 내렸다는 내용과 그 외 참고할만한 사적(史蹟)도 그려서 올린 경위가 자세히 기록돼 있다. 이 화첩은 시각적으로 선명한 채색과 정교한 묘사는 18세기 궁중기록화의 수준 높은 면모를 잘 보여준다.

경진년 연행도첩-산해관도내
경진년 연행도첩-산해관도내

보물 제1051-5호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分類杜工部詩(諺解) 卷十一)’은 성종(1481년)때 홍문관 학자들과 의침 승려들이 왕명을 받아 당나라 시인 두보의 ‘두공부시(杜工部詩)’에 대해 여러 주석을 참고해 내용별로 분류하고 한글로 번역해 편찬한 책이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최초로 간행한 번역시집이라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크다. 또 세조 1년(1455년)에 주조된 금속활자인 을해자(乙亥字)로 찍어, 조선시대 금속활자 인쇄사 측면에서도 가치가 높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_내지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 내지

특히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은 을해자(乙亥字)와 을해자 병용(倂用) 한글금속활자로 간행된 초간본으로, 동일한 권차가 알려지지 않은 희귀본이자, 반치음(半齒音, ㅿ), 방점(傍點), 아음(牙音, ㆁ) 등이 한글 창제 이후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보물 제1219-4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상1의2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상1의2(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諺解) 卷上一之二)’는 중국 당나라 승려 규봉(圭峰) 종밀(宗密)의 초본(鈔本)에 세조가 한글로 구결(口訣)한 판본을 저본으로 해 1465년(세조 11년) 주자소(鑄字所)에서 금속활자인 ‘을유자(乙酉字)’로 간행한 것이다.  마음을 수행해 원만한 깨달음(원각, 圓覺)에 이르도록 한다는 내용이며, ‘원각경(圓覺經)’이라고 부른다. 특히 전래되는 판본이 적은 귀중본으로, 15세기 국어학과 서지학, 금속활자 인쇄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대방광원각수다밀요의경 상1의2의 내지
대방광원각수다밀요의경 상1의2의 내지

조선~근대 한글유산 3건 보물 지정

이번 지정에는 조선~근대 한글유산 3건이 대상에 포함됐다. 근대시기 한글유산 2종은 일제강점기라는 혹독한 시련 아래 우리말을 지켜낸 국민적 노력의 결실을 보여주는 자료다.

* 보물 제2085호 ‘말모이 원고

‘말모이 원고’는 한글학자 주시경과 그의 제자 김두봉, 이규영, 권덕규가 민족의 얼을 살려 나라의 주권을 회복하려는 의도로 편찬한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사전 ‘말모이’의 원고이다.  ‘말모이’는 말을 모아 만든 것이라는 의미로, 오늘날 사전을 뜻하는 순우리말이다. ‘말모이 원고’는 본래 여러 책으로 구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지금은 ‘ㄱ’부터 ‘걀죽’까지 올림말(표제어)이 수록된 1책만 전해지고 있다.

말모이 원고(등록 제523호)
말모이 원고(등록 제523호)

말모이 원고는 ▲현존 근대 국어사 자료 중 유일하게 사전 출판을 위해 남은 최종 원고라는 점, ▲ 국어사전으로서 체계를 갖추고 있어 우리 민족의 독자적인 사전 편찬 역량을 보여주는 독보적인 자료라는 점, ▲ 단순한 사전 출판용 원고가 아니라 일제강점기 우리말과 글을 지키려 한 노력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역사‧학술 의의가 매우 크다.

*보물 제2086호 ‘조선말 큰사전 원고’

 ‘조선말 큰사전 원고’는 조선어학회(한글학회 전신)에서 1929~1942년에 이르는 13년 동안 작성한 사전 원고의 필사본 교정지 총 14책이다. 특히 철자법, 맞춤법, 표준어 등 우리말 통일사업의 출발점이자 결과물로, 식민지배 상황 속 국어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전국민의 우리말 사랑과 민족독립의 염원이 담겨있었다는 점에서 더 큰 의의가 있다. 국문화사와 독립운동사의 매우 중요한 자료라는 점에서 대표성·상징성을 지닌다.

조선말 큰사전 원고
조선말 큰사전 원고

‘말모이 원고’가 출간 직전 최종 정리된 원고여서 깨끗한 상태라면, 이 ‘조선말 사전 원고’ 14책은 오랜 기간 동안 다수의 학자들이 참여해 지속적으로 집필·수정·교열 작업을 거쳤기 때문에 손때가 묻은 세월의 흔적을 느낄 수 있다.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의 증거물로 일본 경찰에 압수되었다가 1945년 9월 8일 경성역(지금의 서울역) 조선통운 창고에서 우연히 발견돼 이를 바탕으로 1957년 ‘큰 사전’(6권)이 완성되는 계기가 됐다.

*보물 제2087호 ‘효의왕후 어필 및 함-만석군전․곽자의전

‘효의왕후 어필 및 함-만석군전․곽자의전(孝懿王后 御筆 및 函-萬石君傳․郭子儀傳)’은 정조의 비 효의왕후 김씨가 조카 김종선에게 ‘한서(漢書)’의 ‘만석군석분(萬石君石奮’과 ‘당서(新唐書)’의 ‘곽자의열전(郭子儀列傳)’을 한글로 번역하게 한 다음 그 내용을 1794년 필사한 한글 어필(御筆)이다.

효의왕후 어필 및 함-표지 및 오동나무 함
효의왕후 어필 및 함-표지 및 오동나무 함

이 한글 어필은 왕족과 사대부들 사이에서 한글 필사가 유행하던 18세기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한글흘림체의 범본이라고 해도 좋을 만큼 정제되고 수준 높은 서풍(書風)을 보여준다. 특히, 왕후가 역사서의 내용을 필사하고 발문을 남긴 사례가 극히 드물어 희소성이 크다.

 

<사진/문화재청>

카카오플러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에디터 초이스
투어코리아 SNS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