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3-09-25 21:59 (월)
서울시의회 이효원 의원,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 멈춰야
상태바
서울시의회 이효원 의원,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 멈춰야
  • 유경훈 기자
  • 승인 2023.09.18 1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어린이 보호구역, 주거지역 차량 운행으로 되레 교통량 늘고 정체 초래
이효원 의원

[투어코리아=유경훈 기자]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효원 의원(비례, 국민의힘)이 지난 15일 서울시의회 제320회 임시회 제6차 본회의에서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재시행에 대해 반대 의사를 강하게 표명했다. 

서울시는 지난 2014년 1월 연세로(신촌로터리에서 연세대 삼거리까지의 550m 거리)를 만성적인 교통체증 구역으로 보고, ▲보행자우선 문화정착, ▲대기질 등 환경개선 ▲문화·경제 활성화 등의 필요성을 강조해 서울시 최초로 ‘보행자·대중교통 전용 공간’으로 지정했다.

그러나 지난해 서대문구의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 요청으로 서울시는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대중교통전용지구 운용을 일시 정지해 일반차량 통행을 허용했다.

이어 7월부터 9월까지 효과분석 결과를 종합해 “상권 활성화 효과 있음” 및 “교통소통 문제 없음” 모두 충족 시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를 결정하기로 협의했다.

 이에 대해 서대문구는 상권분석 결과 연세로가 23.0%로 유사 상권 및 서울시·서대문구 대비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교통분석 결과는 서비스 수준 D, 버스 운행속도 평일 11.65km, 주말 11.18km/h로 서울시가 제시한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다고 덧벝였다.

이에 따라 협의 결과대로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 공고 이행을 서울시에 촉구했다.

그러나 서울시는 코로나 영향을 받은 ‘지난해 상반기 분석데이터는 논란의 소지가 있다며 10월 1일부터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운영을 재개했다.

그리고 다시 6개월간 영향을 종합 분석해 최종 운영 방향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효원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신촌동 주민 관점에서 상권의 매출 증가가 대중교통전용지구 해제를 결정한 직접적인 기준치로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지만 서울시가 일시 정지를 공고했을 때 기준치로 제시했던 만큼 해당 요건이 충족되었기에 협의한 약속 사항은 지켜져야 한다”며 상권 활성화와 연세로 차량 흐름 이외에 서울시가 간과한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의 여러 문제를 짚어냈다.
 
이 의원은 “대중교통전용지구는 교통수요관리 정책으로 대중교통활성화를 위한 사업이므로 상권활성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며, 최근 오세훈 시장이 내놓은 ‘기후동행카드’와 ‘동행버스’가 대중교통활성화 사업에 더욱 적합한 정책”이라며 연세로의 대중교통전용지구는 정책의 목적성에서도 적합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어 “550m의 연세로를 막으면 서울시의 대중교통 이용이 늘어나는가, 다른 도로의 정체만 초래하는데 대기질이 개선되는가?”라고 반문하며 “주민과 상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지정해 무려 8년이나 주민과 상인을 고통으로 몰아넣는 정책 실험을 당장 멈추라”고 촉구했다.

카카오플러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에디터 초이스
투어코리아 SNS
주요기사